스마트폰을 오래 쓰면 손목이 찌릿한가요?
드퀘르뱅 건초염의 원인, 증상, 치료법, 한의학·정형외과 비교,
자가관리까지 정리한 실전 가이드. 초기 치료 시 완치 가능!
드퀘르뱅 건초염 완전 정복
- 손목 건초염, 스마트폰 손목병의 진실 -

현대인의 손목이 아프다면, 그 원인의 상당수는 ‘드퀘르뱅 건초염(De Quervain’s Tenosynovitis)’입니다.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오래 들고, 엄지로 스크롤을 반복하거나 아기를 자주 안는 사람에게 특히 잘 생기죠.
단순한 피로나 염좌로 생각하고 방치하면, 손목의 힘줄이 손상되어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드퀘르뱅 건초염이란?
드퀘르뱅 건초염은 손목에서 엄지손가락 쪽 힘줄을 감싸고 있는 막(건초)에 염증이 생긴 질환입니다.
스위스 외과의사 프리츠 드 퀘르뱅(Fritz de Quervain)이 처음 보고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엄지를 움직이는 두 개의 힘줄인
- 장무지외전근건(APL)
- 단무지신근건(EPB)
 이 손목을 통과할 때 서로 마찰을 일으키면서 통증, 부기, 뻣뻣함을 유발합니다.
쉽게 말해, “엄지손가락과 손목 사이의 통로가 좁아져 힘줄이 끼인 상태”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2. 드퀘르뱅 건초염의 주요 원인






(1) 반복적인 손목·엄지 사용
- 스마트폰 스크롤, 타이핑, 육아, 설거지, 요리, 재봉 등
- 같은 동작을 장시간 반복하면 힘줄이 지속적으로 마찰됩니다.
(2) 출산·육아로 인한 손목 부담
- 아기를 안거나 젖병을 들 때 손목이 ‘비트는 자세’가 많습니다.
- ‘맘손목’이라 불리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죠.
(3) 호르몬 변화와 부종
- 임신·출산·갱년기에는 체내 수분 증가와 인대 이완으로
 손목 주변 조직이 붓고 염증에 취약해집니다.
(4) 스마트폰·컴퓨터 과사용
- 한 손으로 폰을 들고 엄지만 사용하는 습관,
 마우스를 잡은 채 손목을 꺾은 자세가 대표적 원인입니다.
(5) 많이 쓰지 않은 손에도 생길 수 있다 (보상성 원인)
- 의외로 주로 쓰지 않는 손에서도 드퀘르뱅 건초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가 오른손이 아프면, 왼손으로 스마트폰을 들거나 물건을 쥐며 보상적으로 무리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또한 앉았다 일어날 때 손을 짚는 습관, 침대에서 몸을 일으킬 때 손목으로 체중을 지탱하는 자세 등도
 반복적으로 압박을 주어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주 쓰지 않아도 아플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손목의 하중과 자세가 더 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드퀘르뱅 건초염 주요 증상 - 단순한 손목 피로와의 차이
| 구분 | 일반 손목 피로 | 드퀘르뱅 건초염 | 
| 통증 위치 | 손목 중앙, 손바닥 쪽 | 엄지손가락 뿌리~손목 바깥쪽 | 
| 통증 시기 | 장시간 작업 후 뻐근함 | 물건 쥐거나 비트는 순간 ‘찌릿’한 통증 | 
| 부기 | 거의 없음 | 손목 바깥쪽이 붓고 눌렀을 때 통증 | 
| 움직임 제한 | 거의 없음 | 엄지 굽히기·펴기 어려움 | 
| 특징 | 휴식 시 호전 | 지속 시 악화, 야간통 동반 가능 | 
병뚜껑을 열 때, 스마트폰을 쥘 때, 아기 안는 자세에서
‘엄지쪽 손목이 찌릿하고 시큰하다면 드퀘르뱅 건초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4. 드퀘르뱅 건초염 진단법 - 핀켈스타인 검사
(1)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으로 넣고 주먹을 쥡니다.
(2) 손목을 새끼손가락 쪽으로 천천히 꺾습니다.
(3) 이때 엄지쪽 손목에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진다면 양성입니다.





의사는 여기에 초음파 검사를 병행해
힘줄의 부종, 건초 내 염증, 활주 제한 여부를 확인합니다.
5. 치료법 - 정형외과 vs 한의학 비교
(1) 정형외과 치료
① 휴식 및 보호대 착용
- 손목 사용을 줄이고, 손목·엄지를 고정하는 보호대를 착용합니다.
- 초기에는 이것만으로도 통증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 약물·물리치료
- 소염진통제 복용 또는 진통·소염 연고 도포
- 온찜질, 초음파·전기 자극 물리치료 병행
③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
- 염증 부위에 주사하여 통증과 부종을 빠르게 줄입니다.
- 다만 반복 주사는 힘줄 약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④ 수술적 치료
- 6개월 이상 호전이 없거나 재발이 잦을 경우
 좁아진 힘줄통로(건초)를 절개해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건초절개술’을 시행합니다.
- 성공률은 높지만 신경손상·흉터·재발 위험이 있으므로 최후의 선택입니다.
(2) 한의학적 치료
① 봉침요법
- 꿀벌 독의 멜리틴(Melittin) 성분이 항염·진통 작용을 하여
 급성 염증기 통증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② PDRN(연어 DNA)·태반 약침
- 손상된 조직 재생과 혈류 개선을 도와
 만성 단계의 회복을 촉진합니다.
③ 도침치료
- 힘줄과 건초 사이 유착·섬유화를 풀어주는 시술로
 손목의 움직임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④ 극초단파 심부온열요법
- 내부 열을 통해 혈액순환과 세포 활성화를 유도하여
 염증 흡수와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드퀘르뱅 건초염은 비수술적 치료로도 80~90% 이상 완치가 가능합니다.
단, ‘손목을 쉬게 하는 습관’이 병행되지 않으면 재발률이 높습니다.
정형외과 치료와 한의학 치료, 병행이 도움이 될까?
드퀘르뱅 건초염은 염증 조절 + 조직 회복 + 사용 습관 교정이 동시에 이뤄져야 합니다.
따라서 정형외과 치료(약물·물리·주사)와 한의학 치료(봉침·도침·약침)를 보완적으로 병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단, 치료 방법은 개인의 손목 상태와 염증 단계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의사 또는 한의사와 충분히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법
(1) 손목 스트레칭
- 엄지손가락을 반대 손으로 부드럽게 잡고 바깥쪽으로 천천히 당기기
- 손목을 위·아래·좌·우로 가볍게 회전
(2) 온찜질 10분
- 하루 2~3회, 미지근한 수건으로 손목 감싸기
- 냉찜질은 급성 부기 시에만 단기간 사용
(3) 손목 보호대 착용
-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손목을 꺾는 것을 방지
- 낮에는 가벼운 보호대, 밤에는 안정형 착용
(4) 생활습관 교정
- 스마트폰은 양손으로 잡기
- 타이핑 시 손목을 꺾지 말고 일직선 유지
- 무거운 물건은 양손으로 들기
- 손목 피로 시 5분간 휴식




7. 완치 가능할까?
드퀘르뱅 건초염은 초기 진단과 치료가 빠를수록 완치율이 높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2~6주 내 비수술적 치료만으로 회복되며,
생활습관을 교정하면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만,
- 6개월 이상 방치
- 손목을 쉬지 못하는 직업(육아·요리·사무직)
- 호르몬 변화기 여성
 은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와 예방이 중요합니다.
심 포인트
드퀘르뱅 건초염은 “손목의 과사용이 만든 염증 질환”이지만
반복된 압박·잘못된 자세·보상적 사용 습관도 주요 원인입니다.
√ 많이 쓰지 않은 손에도 생길 수 있다
√ 정형외과·한방 치료 병행으로 회복 가능
√ 생활습관 교정이 재발 방지의 핵심

드퀘르뱅 건초염 완전 정복
- 손목 건초염, 스마트폰 손목병의 진실 -
이 블로그의 추천 읽기
건초염이란? | 힘줄이 보내는 ‘과사용 신호’를 알아차리자
건초염이란? | 힘줄이 보내는 ‘과사용 신호’를 알아차리자
손목 통증이 반복되나요?건초염의 원인, 증상, 잘 생기는 부위, 예방까지 한눈에 정리한 현대인 필수 건강 가이드.스마트폰 손목병, 방아쇠수지, 드퀘르뱅 증후군의 기초 이해편. 🩺 건초염이란
infjsoul.com
드퀘르뱅 건초염, 왜 이런 이름일까? | 손목 질환 이름에 숨은 의학적 유래
드퀘르뱅 건초염, 왜 이런 이름일까? | 손목 질환 이름에 숨은 의학적 유래
드퀘르뱅 건초염, 왜 이런 이름일까?건초염 중에서도 가장 흔한 손목 질환으로,스위스 외과의사 프리츠 드 퀘르뱅이 처음 의학적으로 보고한 병입니다.이름 속에 담긴 의학적 의미를 알아보세
infjsoul.com
'건강 &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계절별 손목 통증 관리법 | 드퀘르뱅 건초염 재발을 막는 생활 루틴 (0) | 2025.11.01 | 
|---|---|
| 드퀘르뱅 건초염, 왜 이런 이름일까? | 손목 질환 이름에 숨은 의학적 유래 (0) | 2025.10.31 | 
| 건초염이란? | 힘줄이 보내는 ‘과사용 신호’를 알아차리자 (0) | 2025.10.31 | 
|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조심하세요|조기증상·예방수칙·고위험군 건강관리 가이드 (1) | 2025.10.22 | 
| 전동킥보드 법적 기준·속도제한·무면허 운전 처벌 총정리 | 16세 미만 탑승 금지, 부모님도 과태료 대상입니다 (0) | 2025.10.21 | 
 
                    
                   
                    
                   
                    
                  